희곤의 블로그

양자역학 26. 양자계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을까

양자계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가? 어떤 양자 시스템을 완전히 이해했다는 것은, 그 시스템이 가능한 모든 상태와 그 확률을 얻어내는 것과 같다. 가능한 모든 상태를 알아낸다는 것은, 힐베르트 공간을 이루는 Complete한 기저와 그 계수들 (c_{n}), (c(z))를 찾아내는 것과 동등하다. 이때 Complete한 기저는 Observable Ope...

양자역학 24. 고유 함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고유 함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Observable의 고유 함수는, Observable을 측정한 후 시스템의 상태와 같다. 이 고유함수를 규격화할 수 있다면 정규 직교 집합을 이루고, 완비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Hillbert 공간을 Span하는 기저로 사용될 수 있다. (1) 왜 Observable의 고유함수를 규격화할 수 있다면 정규 직교 집합을 ...

양자역학 23. 왜 고유값이 측정값인가

왜 고유값이 측정값인가? 그것이 양자역학의 공리이기 때문이다. 양자역학은 아직 개척하고 있는 미지의 분야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학적으로 한 모델링과 실험 결과가 일치하기 때문에 받아들이는 공리가 존재한다. 그 공리는 바로 ‘Observable을 측정하면 Observable에 해당하는 Operator의 고유값 중 하나가 관측된다.‘이다. 게다가 Obs...

양자역학 19. Bra-Ket (Dirac) 표현법이 무엇인가

양자계의 일반적인 성질은 무엇인가? 무한 퍼텐셜 우물, 조화 진동자, 디렉 퍼텐셜, 유한 퍼텐셜 우물은 양자계에서 얼마 안되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 수 있는 시스템이다. 대부분의 슈뢰딩거 방정식은 풀 수 없기 때문에, 이 얼마 안되는 사례에서 일반적인 성질을 뽑아내야 한다. 파동함수는 힐베르트 공간 위의 벡터이며, 연산자는 선형 변환의 형태로 파동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