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7-19
Today’s Todo List 오늘의 감정일기 오늘의 감정 : 무기력, 기쁨, 분노, 고마움 무기력 (5/10) 오늘 아침은 일어나기 귀찮았던 날이었어요. 그래도 일단 일어나서 움직이다보면 뇌가 활성화되겠죠? 이런 생각으로 일어나서 아침 루틴을 수행했죠. 기쁨 (6/10) 몸과 머리가 깨어나며, 오늘 하고싶은 일들을 생각했어요. 그러자 설레...

Today’s Todo List 오늘의 감정일기 오늘의 감정 : 무기력, 기쁨, 분노, 고마움 무기력 (5/10) 오늘 아침은 일어나기 귀찮았던 날이었어요. 그래도 일단 일어나서 움직이다보면 뇌가 활성화되겠죠? 이런 생각으로 일어나서 아침 루틴을 수행했죠. 기쁨 (6/10) 몸과 머리가 깨어나며, 오늘 하고싶은 일들을 생각했어요. 그러자 설레...
가상 메모리가 무엇인가? 어차피 프로세스를 돌릴 때 모든 페이지가 필요하지 않고, 페이지의 일부만 있어도 당장에는 돌릴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의 페이지를 일부만 올리면 더 많은 프로세스를 한번에 돌릴 수 있지 않을까? 페이지 적재 여부를 vaild-invaild bit로 표시한다. 적재되지 않은 페이지는 디스크에 저장해둔다. 그렇다면 프로세스...
메모리 경영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와 언제 대응시킬까? 주소는 논리 주소와 물리 주소가 존재한다. 논리 주소는 한 프로그램에서만 사용하는 가상의 주소다. 물리 주소는 실제 램의 주소를 뜻한다. 논리 주소는 물리 주소와 대응되어야 한다. 언제 대응시켜야 할까? 프로그램은 컴파일되어 어셈블리어로 변환되고, 어셈블리어는 다시 컴파일되어 기계어로 변환된다....
교착상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교착 상태가 뭔데? 두 프로세스 (T_{0}, T_{1})이 있다. (T_{0}) 프로세스가 필요한 자원을 (T_{1})가 갖고있고, (T_{1})이 반납해줄 때가지 대기중이다. 그러나 (T_{1})가 필요한 자원은 (T_{0})이 갖고있고, 똑같이 상대가 반납해줄 때까지 대기하고 있다. 이 대기는 영원히 끝나지 않는다....
동기화가 무엇인가? 동기화(Synchronization)란,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 영역에 동시에 접근할 때 한명씩 접근하도록 만드는 방법이다. 한명씩 접근하는 것을 순서화(Serialize)한다고 한다. 왜 동기화가 필요한가? Race Condition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공유된 자료구조에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Write하면 의도한 동작이 아닌 ...
결정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NOTE] 먼저, 프로세스 시스템 개념을 정의하자.{title} 프로세스의 집합과, 선행 제약들을 프로세스 시스템이라고 정의한다. 선행 제약(precedence relation)이란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다. 즉, (P_{1}, P_{2}, \dots, P_{n}) 프로세스가 있을 때 선행 제약은 (P_{i}...
상호작용하는 프로세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무엇인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거나, 공유 메모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상호작용 프로세스라고 한다. 상호작용 프로세스 사이에는 네가지 이슈가 존재한다. determinacy (결정성) : 프로세스들이 실행 속도에 상관 없이 항상 같은 초기값을 주면, 같은 결과를 내는 것. mutual exc...
실시간 스케쥴링이 언제 필요한가? 미사일 제어 시스템과 같이 계산 시간을 엄격하게 지켜야 하는 시스템에서 실시간 스케쥴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 OS에서도 적당한 실시간 스케쥴링이 필요할 때도 있다. 따라서 실시간 시스템을 연성 실시간 시스템, 경성 실시간 시스템으로 분류한다. 연성 실시간 시스템(Soft real-time system)은 실시간 ...
CPU 스케줄링은 실질적으로 어떻게 구현되는가?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많다. 어떤 스케쥴링이 좋을까?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스케쥴링 방법이 가장 좋을 것이다. 스케쥴링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 기준을 알아보자. CPU utilization (CPU 사용율): CPU를 100%중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가? Throughtput (처리율):...
Call Stack Frame이 무엇인가? Frame이 무엇인가? 스택에 쌓이는 데이터 묶음이다. 함수 호출 한번당 스택 프레임이 하나씩 생성되어 스택에 쌓인다. Frame의 구성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Parameters : 함수가 호출될 때 넘겨받은 값. Return Address : 함수가 끝나고 돌아가야 하는 메모리 주소. 즉 함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