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2025-10-29

2025-10-29

Emotion, My Reflection, Thanks

현재 왜 초조해졌는가? 작화해보자면, 가야할 길을 잃어버린 느낌이다. 나는 무엇을 위해 사는가? 무엇이 중요한 일인가?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나는 왜 학교를 다니며 공부를 하고있나? 개인의 성장, 더 나은 삶을 위해. 더 나은 삶이란 무엇일까?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을 타인의 눈치보지 않고 마음껏 할 수 있는 삶. 항상 여유가 있는 삶. 타인과의 관계에서 만족감을 얻는 삶. 유능하여 인정 받는 삶이다.

Insight 1. 나는 자유롭고, 유능함을 누리며, 친한 이와 관계가 좋고, 여유로운 삶을 살고 싶다.

그러나, 모순점이 있는 듯 하다. 타인의 눈치를 보지 않고 마음껏 할 수 있는 삶을 살고 싶으면서, 유능하고 인정받는다는 것은 타인에게서 얻을 수 있는 가치다. 그렇다면, 타인의 눈치를 보게 되지 않을까? 타인의 눈치를 보지 않고 인정 욕구만을 채울 수 있을까? 그것은 모순이 아닐까? 모순인 이유가 무엇인가.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다는 욕구가 있다면, 타인이 무엇을 좋게 생각하는지, 무엇을 뛰어나게 생각하는지 생각하게 된다. 즉 눈치를 보게 되고, 그 틀 속에 나를 맞추게 된다. 그러나 그것이 잘못된걸까? 사회 구성원 속에서 타인은 중요한 요소고, 우리의 감정은 타인에게 많이 좌우된다.

타인과 완벽하게 독립된 객체로 나를 구성할 수 있을까? 아마 그럴 순 없을 것이다. 지금 내가 사용하는 언어, 하고 있는 생각 모두 타인들이 축적한 지식의 산물이다. 때문에 타인에게서 완벽히 독립하고자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눈치를 보는 것이 문제인가? 눈치를 본다는 것이 무엇일까? 타인이 나를 어떻게 볼지, 거기에 대해 주의가 집중되는 상태와 비슷하다. 타인이 나를 안좋게 보는 것이 무슨 상관인가? 그리고 만약, 타인이 정말 나를 안좋게 보는지 좋게 보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그것은 알 방법이 없다. 불안과 공포란, 나의 상상속에서 발현된다. 벌어지지 않은 일을 마치 벌어진 일인 것처럼 상상하는 것이 불안과 공포의 원천이다. 그것이 정말 그렇게 흘러가지 않을 수 있는데 말이다.

Insight 2.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평생 알 수 없다. Insight 3. 내게 불안을 만드는 대부분의 일은 벌어지지 않은 일이며, 실제로 그렇게 흘러갈지 알 수 없다.

자유로운 것은 무엇인가? 나를 불안하게 만드는 상상에서 벗어나, 무언가에 얽매이지 않는 것이다.

나는 유능한가? 무엇이 유능한 것일까? 지식을 많이 알고 있다? 돈을 많이 번다? 힘이 좋다? 또는, 노래를 잘부르나? 이것들은 모두 유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내가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냐에 따라 누군가는 유능할 수도, 누군가는 유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내가 유능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나는 유능한 사람이 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다른 것에 가치를 중요하게 둔다면, 나는 유능하지 않은 사람이 될 수도 있다. 그렇다면 나는 다음과 같은 것을 유능하다고 생각한다.

Insight 4. 유능함이란, 무엇이 기준이 되는가에 따라서 다르다. 내가 생각하는 유능한 사람은 다음과 같다.

  • 세상에 정답이 없고, 지금 내가 알고있는 것은 얼마든지 뒤집힐 수 있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
    • 그렇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것에 의문이나 질문을 던질 수 있는 사람.
  • 끊임없이 탐구하고, 성찰하며, 성장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
  • 특정한 한 분야에 특출난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사람.

위 기준에 따르면, 나는 유능한 사람이다. 그리고 위 기준에 맞지 않는 많은 교수, 권위자, 의사는 충분히 유능하지 않은 사람일 수 있다.

친한 이와의 관계가 좋은가? 그것은 지금 내가 가꿔가야 할 정원이다. 지금 내가 가꿔야 할 정원은 예성, 현영이다. 지금 나는 여유로운 삶인가? 여유는 어디서 나오는걸까? 여유란 무엇일까? 나는 언제 여유롭다고 느끼는가?

  • 내가 유능한 사람일 때
    • 인간이 만든 모든 지적인 산물은 자연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마치 허구, 신화와 구분할 수 없으며, 그것은 언제든지 뒤집힐 수 있다. 따라서 세상에 정답이 없으며, 그 무엇도 확신할 수 없다. 교수의 말, 권위자의 말 또한 정답이 아닐 수 있다. 이를 인지하고 있을 때, 여유가 생긴다.
  • 생존의 위협을 받지 않을 때
    • 잠잘 곳 있고, 친한 사람들과 맛있는거 먹고, 꾸밀 수 있을만큼 꾸밀 수 있으면 충분하다.
  • 내 삶을 통제하고 있을 때.
    • 모든 것을 다 잘하려 하지 말고, 중요하지 않은 것은 덜어내고 중요한 것에 집중할 때.
    • 나 자신이 잘 살고 있고,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느낄 때.
    • 통제할수 없는 것들을 놓아주고, 통제할 수 있는것에 집중할 때.
  • 현재 일상을 온전히 경험할 때.
    • 친한 친구와 느긋하게 좋은 시간을 보낼 때.
    • 아무 걱정 없이 한가롭게 노래들으며 산책하거나 책을 즐길 때.
    • 즐거운 경험을 할 때. (가고싶은 곳을 갈 수 있을 만큼)

위 요소들로부터 여유를 일반화한다면, 현재 상황이 충분하다고 느끼는 것 + 내/외적 갈등이나 위협으로부터의 자유와 같다.

Insight 5. 여유란, 현재 상황이 충분하다고 느끼면서 내/외적 갈등이나 위협으로부터의 자유와 같다.

그렇다면, 이 여유는 어떻게 가꿀 수 있을까? 미래를 바라보며 현재를 희생하지 않는다. 미래의 나를 위해, 현재의 나를 혹사하고 학대하는 연습을 하지 말자. 현재 상황 속에서 얻을 수 있는 즐거움에 주의를 기울이며, 끊임없이 성장하는 나를 보며 만족하는 연습을 시작한다.

Insight 6. 미래의 얻을 즐거움에 현재를 희생하지 말고, 현재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즐거움에 초점을 맞추자.

그렇다면, 나는 지금 여유로운 사람인가? 내가 유능한 사람인가? 그렇다. 나는 자유로운가? 자유로울 방법을 깨달았다. 생존의 위협을 받지 않는가? 주거, 음식, 옷(패션)이 아직은 불안정하다. 내 삶을 통제하고 있나? 이따금씩 이정표를 잃어버리고 내 통제에서 벗어날 때가 있다. 이를 바로잡는 습관을 형성한다. 현재 일상을 온전히 경험하고 있나? 이따금씩 그렇지 않을 때가 있다. 중요하지 않은 것을 하느라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이것이 지금 내가 여유롭지 않다고 느끼는 이유로 추측된다. 그렇다면, 기존 안전감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 문제를 해결한다. 현재 주거 상황이 어떻게 불안정한가? 구체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식사는 먹고싶은거 먹는다면 얼마정도가 필요한가? 현재 나의 자기관리에 소모되는 비용이 얼마인가? 그것들을 모두 고려해서, 어떤 플랜을 계획할까? 나에게 진정으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그리고 중요한 것 대신 중요하지 않은 것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정표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주기적으로 삶의 이정표를 계획하고, 성찰한다. 그리고 그 계획대로 산다. 계획에 없는 일은, 대개 중요하지 않은 일이다. 또한 의도적으로 여유로운 시간을 갖는 것이다. 티타임, 독서, 있는 그대로 있을 수 있는 친구와 시간 갖기.

이 요구사항들을 종합하여, 앞으로 구체적인 계획이 무엇인가?

  • 해야하는 요구사항들이 무엇인가?
    • 주거 문제 해결
    • 식사, 자기 관리 비, 경험비용, 구독비용 충당
    • 즐겁고 여유로운 시간 갖기
    • 중요하지 않은 일을 싹 걷어내고, 투두메이트, 계획 플랜에 중요한 일만 채워넣기.

그렇다면, 돈버는 활동과 관계, 여유를 갖는 활동의 벨런스를 맞춘다.

하루 1달러씩 버는 앱을 100개 만들면, 100x30=3000달러 벌 수 있음. 그렇다면, 최대한 작게 핵심만 만들어서 빠르게 출시해보고 테스트해보자. 하루에 한개씩 앱을 만들면, 30일 뒤에는 30개의 앱이 만들어진다. 100일 뒤에면 100개의 앱을 만들 수 있다.

그래서 당장 중요한 것은 하루에 한개씩 앱 출시하여 하루 1달러라도 버는 앱 만들기 & 출시하고 나면, 그날 하루는 여유를 즐기기. 이 두가지가 중요한 문제다. 유튜브 쇼츠 넘기기, 인스타 등은 전혀 중요하지 않은 일이다.

앱 양산 가능하게 되면, 게임을 양산한다.

Study

원칙 수립

1
/speckit.constitution 코드 품질, 테스트 표준, 사용자 경험 일관성, 성능 요구사항에 중점을 둔 원칙 생성

요구사양 작성

1
/speckit.specify 제 사진들을 별도의 포토 앨범으로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세요. 앨범은 날짜별로 그룹화되며, 메인 페이지에서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앨범은 절대 다른 앨범 안에 중첩되지 않습니다. 각 앨범 내의 사진들은 타일과 같은 인터페이스로 미리보기가 제공됩니다.

기술 스택이 아닌 ‘무엇’ 과 ‘ 왜’ 에 집중하세요.

(선택) 계획 전에 모호한 영역의 리스크를 제거하기 위해 구조화된 질문

1
/speckit.clarify

기술 스택과 아키텍처 선택

1
/speckit.plan 이 애플리케이션은 Vite를 최소한의 라이브러리만 사용하여 구축합니다. 가능한 한 바닐라 HTML, CSS, JavaScript를 사용하세요. 이미지는 어디에도 업로드되지 않으며, 메타데이터는 로컬 SQLite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됩니다.

(선택) 요구사항의 완전성, 명확성,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한 품질 체크리스트 생성

1
/speckit.checklist

작업 리스트 생성

1
/speckit.tasks

(선택) 산출물 간 일관성 및 정합성

1
/speckit.analyze

구현 실행

1
/speckit.impl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