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2025-08-17

2025-08-17


Pasted image 20250817215520.png Today’s Todo List


Reflecting

인스타, 유튜브 쇼츠, 커뮤니티 게시글을 멍때리면서 볼 때 뇌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될까? 이게 오랫동안 활성화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그리고 나는 그것을 어떻게 인지할 수 있을까?

수동 스크롤은 DMN과 도파민 보상회로를 자극한다. 이것이 반복되면 습관을 만든다. 부정적인 커뮤니티 게시글을 보게되면 비교와 스트레스를 받는다. 편도체와 스트레스 반응계가 각성상태가 된다.

이것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정서적인 안정감이 저하되고, 습관이 굳어져 멈추기 어려워진다.

DMN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것이라면, 반대로 TPN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다. 즉, 전두엽을 활성화 해야한다. 계절학기를 들을 떈 꾸준히 전두엽을 사용하는 활동을 했었고, 그것이 관성이 되어 성찰하는데 도움을 줬던 것 같다.

그렇다면 나는 어떨때 전두엽이 활성화되는가? 나는 어떨때 즐거운가? 사람들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믿음,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설명하는 내용, 책의 내용에 “왜?” 라는 의문을 던졌을 때. 그리고 그 의문을 해결하는 과정과, 해결했을 때. 내 전두엽이 깨어나고, 유능성의 욕구가 충족된다. 그리고 현재 내 삶에서 핵심이 되는 일,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일을 할 때 만족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내가 진정으로 하고싶은 것을 할 때. 나의 자율성의 욕구가 충족된다. 유능성과 자율성의 욕구가 충족되는 상태에서 친구, 연인과 대화할 때 관계성의 욕구가 충족된다.

바쁜 하루와 생산성있는 하루는 다르다? 지금 내가 하고있는 일들은 목표에 다가가는데 도움이 되는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즉시 중단하라. 도움이 될 활동이 무엇인가? 만약 마라톤 훈련이라면, 당장 밖으로 나가서 달리는게 도움이 되는 행동이고, 운동복을 쇼핑하는 행위는 우선순위 밖의 행위다. 핵심적인 일에 집중하라는 것은 공감되네. 지금까지 우선순위 밖의 일을 먼저 처리하면서 바쁜 하루를 보낸 것 같다.

나의 에너지를 추적해보자. 그 에너지에 맞게 하루 일과를 설계해보자. 중요한 일은 에너지가 가장 높은 시간대에 처리한다. 하루의 어느 시간까지 반드시 끝낸다는 마감 기한을 설정하고, 그 이후 시간대는 반드시 휴식한다. 에너지가 낮아지는 시간 분기점을 마감 기한으로 설정하고, 에너지가 낮아지는 시간대를 휴식 시간으로 설정한다.

일단 행동해야 뇌가 변한다. 하기 싫은 일을 하게 만드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 무엇일까? 하기 쉽게 만드는 것이다. 강도나 빈도를 줄여서 이정도면 껌이지 라고 생각하고, 행동의 부담을 줄인다.

나의 목표는 무엇일까?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싶은가? 나는 어떤 삶을 살아가고 싶은가? 나는 좋은 이성을 만나 같이 많은 시간을 보내고, 하고싶은 것을 할 수 있는 자신감과, 사고싶은 것을 살 정도의 자본을 갖추고, 무언가에 대해 분석하고, 탐구하고, 성찰하는 시간을 가지며, 쉴 땐 마음을 편히 공유할 수 있는 친구들과 시간을 보내는 삶을 살고 싶다. 그리고 매력적인 외모와 몸을 가지고 싶은 욕구가 있다. 이는 좋은 이성을 만나고 싶은 마음과 관련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핵심이 되는 활동이 무엇인가? 이성을 일단 만나보고, 내가 하고싶은 것을 일단 해보며, 돈을 벌고, 무언가를 분석하고, 탐구하고, 성찰하며, 현재 친구들과 좋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그리고 운동하고, 나를 가꾸는 것이다. 백팩을 사는 것은 현재 전혀 중요한 일이 아니다.

일기를 꼭 밤에 써야할까? 일기를 작성하는 행위는 나를 돌아보고, 나를 분석하고, 성찰하는 시간대에 해당된다. 이 행위가 휴식 시간에 이루어지면 부담이 된다. 지금까지 장문의 일기는 다 낮 시간대에 작성되었다. 즉, 일기 작성 시간대를 낮으로 옮긴다.

무엇을 분석, 탐구, 성찰할까? 탐구할 것은 많다. 자기인식(내 감정 상태, 나의 욕구, 심리, 뇌과학), 물리학, 게임아키텍처, 컴퓨터공학, AI, 소프트웨어 설계, 외모, 경제 활동, 감성 사진 등. 에너지 수준이 높은 시간대에 운동, 분석, 탐구, 성찰, 휴식에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그리고 마감 기안 이후, 에너지 수준이 낮은 휴식 시간에는 이성을 만나보고, 내가 하고싶은 것에 도전해보며, 친구와 시간을 보낸다.

이를 위해 어떤 마이크로액션을 구축해야할까? 우선 아침에 바로 기상한다. 이때 휴대폰을 보는 행위는 내 목표와 방해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기지개를 켜고, 이불을 갠다. 여기까진 이미 구축되어 있다. 휴대폰과 이어폰을 가지고 나가지 않고 런닝을 시작한다. 음악을 듣기 위해 휴대폰을 만져야 하고, 휴대폰을 만지면 알림을 확인할 가능성이 높다. 알림을 확인하면 그 알림에 대한 대처 행동을 하게 되고, 그것에 이어져 다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런닝과 운동을 마치고 영양제와 아침을 먹고 씻고 스킨케어한다. 여기까진 잘 구축해둔 기존의 습관이다. 아침 루틴 동안에는 휴대폰을 만지지 않는다. 이후 오늘 성찰, 탐구 시간대에 무엇을 할지 생각하고 계획을 세운다. 처음엔 하나부터 시작해서, 적응되면 성찰 카테고리를 2개, 3개 늘려가는 방식이다. 탐구할 것은 나의 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야 한다. 탐구할 것은 카테고리 자체가 될 수 있고, 어떠한 의문 한가지에서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냅다 생각을 시작한다. 사소한 것부터 시작하여 꼬리의 꼬리를 물고 “왜?”를 생각해보자. 이를 25분 하고 5분 쉬고를 반복한다. 적응되면 40분 하고 10분 쉬고까지 늘릴 수 있다. TPN 모드만 과하게 활성화되거나, DMN 모드만 과하게 활성화 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를 마감 기한까지 반복한다. 마감 기한 이후에는 휴식 시간이다. 나이트 루틴은 간소하게 먹어야 할 보충제, 약 먹고 간단한 얼굴, 안면 비대칭 관한 운동을 한다. 밤에는 부담스럽지 않고, 전두엽을 과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간단하게 오늘 내 목표를 위해 했던 일이 무엇인지, 오늘 하루 개선할 점 1가지, 감사한 일 1가지, 간단한 감정 정리 1문장을 적고 마무리한다.

성찰할만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 돈을 어떻게 벌까?
  • 운동과 나를 가꾸기 위해 어떤 마이크로액션을 만들까?
  • 내 목표에 방해되는 마이크로액션이 무엇일까?
  • 그 마이크로액션을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환경을 조성해야할까?
  • 내가 생각하던 나의 정체성이 무엇인가?
    • 나는 사회성이 부족하다.
    • 나의 외모는 뛰어나지 않은 편이다.
    • 나는 생각하고, 성찰하기를 좋아한다.
    • 나는 모임이나 사람이 많은 자리를 부담스러워한다.
    • 나는 많은 사람의 주목을 부담스러워한다.
    • 나는 감정과 이성이 둘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사람은 반드시 바뀔 수 있다.
  • 내 목표, 내가 되고 싶은 사람, 내가 살고 싶은 삶을 살기 위해서 나의 정체성을 어떻게 재구성하면 좋을까?
  • 나의 장점이 무엇일까?
  • 내 단점이 무엇일까? 그것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
  • 내가 가지고 있는 편도체 불안 트리거가 무엇이 있을까?, 이후 어떤 노출치료를 해야할까?
  • 내가 가지고 있는 인지 불안이 무엇이 있을까? 그것에 대한 대한 생각이 무엇일까?
  • 모든 우주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론이 있을까?
  • 상대성 이론이 무엇인가?
  • 열역학이 무엇인가?
  • 통계물리가 무엇인가?
  • 양자역학이 무엇인가?
  • 작용이 무엇인가?
  • AI의 원리가 무엇일까?
  • AI를 어떻게 만들까?
  • 사진을 어떻게 보정해야 감성 사진 느낌을 낼 수 있을까?
  • 사진 구도를 어떻게 잡을까?
  • 촬영은 어떻게 할까?
  • 인물 사진은 어떻게 잘 찍을 수 있을까?
  • 외국어를 왜 배워야 할까?
  • 영어를 배우기 위해 하루에 어떤 마이크로액션을 추가할 수 있을까?
  • 게임으로 돈을 어떻게 벌 수 있을까?
  • 쉽고 빠르게 게임을 만드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 재미있는 게임이 무엇일까?
  • 재미있는 게임과, 돈을 많이 버는 게임은 다른걸까?
  • 사람들이 자꾸 찾게되는 게임이 무엇일까?
  • 어떻게 내 게임을 유명하게 만들 수 있을까?
  • 어떻게 하면 잘생겨질 수 있을까?
    • 내 이목구비의 단점과 장점, 남성적인 부분과 여성적인 부분, 중성적인 부분이 무엇이고 그 이미지를 조화롭게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
  • 내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나와 가장 잘 어울리는 이미지가 무엇일까?
  • 그 이미지에 어울리는 옷과 옷 핏이 무엇일까?
  • 나에게 어울리는 옷 핏이 무엇일까?

Thanks:

밝게 미소지으며 응대해주신 중국집 사장님이 감사하다.

Emotion:

오랜만에 내 인생의 이정표를 되돌아보고, 전두엽을 사용하니 뿌듯하고 만족스러운 감정이다.

Improve:

아침 루틴때 스마트폰을 아에 만지지 말자. 음악을 듣기 위해 스마트폰을 여는 순간 자동으로 알림들을 확인하고, 알림들을 확인하면 메세지를 답장하거나, 메세지를 받았을 때 드는 감정이 하루의 시작을 방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