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2025-08-02

2025-08-02


Pasted image 20250802220843.png Today’s Todo List


Yesterday’s Gratitude

I’m thankful that I got to watch such a good movie ‘Dead Poets Society’.

Emotion Diary

Emotion: gloomy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하고, 내가 한층 성장하고 제대로 나아가고 있다는 확신을 받을때 나는 기쁘다. 그에 반해, 지금까지 전혀 중요하지 않은 일만 하고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럴때마다 나는 공허함과 초조함을 느낀다.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이 무엇일까? 깊이 있는 탐구, 그럼으로써 성장, 내가 원하는 것을 선택하는 자율성, 관계의 진정성. 이것이 내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들이다. 그렇다면 무언가를 깊이 탐구하면서,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그것을 선택하면 될 일이다.

그러나 자꾸 내 욕구와 반대되는 자율성이 침해되는 행동을 하게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사회적 시선, 문화, 학습된 공포에서 기인된다. 이 학습된 것을 바꾸려면 재학습하는 방법 뿐이다.

내가 판단했던 임의의 상황을 하나 생각해보자. 그 상황이 어떘는지? 선택지가 무엇이 있었는지? 그 판단 후의 감정이 어땠는지? 사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욕구가 무엇이었는지? 그렇다면 그 욕구대로 행동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 내 욕구대로 행동하기 위해서 앞으로 무엇을 해야할지?


Insights

  • 수면의 질은 자세가 큰 영향을 끼친다. 새우 자세를 취하지 말자.
  • 실패와 성공이 아니다. 그저 끊임없는 시행착오에 불과하다.
  • 내 의견을 마음껏 말해도 되는데, 상대의 의견을 존중해주기만 하면 된다.
  • 내 생각, 감정, 욕구는 부끄럽거나 숨겨야할 것이 아니다. 보편적인 사람으로써 당연한 것들이다.
  • 매일 안해본 것들, 새로운 것들을 해보면서 살기? 왜 안해본 경험을 하면 기분이 좋아질까? 매일 반복적인 것을 하면 그것은 선조체가 담당하고, 지금 내 습관들은 부정적인 감정과 같이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경험을 통한 긍정적인 정서로 덮어씌워 새로운 습관을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환경에 놓이면 피질이 일해야 하기 때문이다.
  • 사람과 친해지고 싶은데 사람이 무섭다.
  • 대단함이란 것은 상대적이다. 누군가에게 대단한 것이 누군가에겐 별 것 아닐 수 있다. 즉, 내가 모르고 있던 나의 면모가 누군가에겐 대단한 것일 수도 있겠다.
  • 우울함은 무엇일까? 사회적인 상호작용이 결여되었을 때, 어서 사회적인 네트워크를 쌓으라고 내 몸이 내게 보내주는 신호가 아닐까?

[!note]- 감정 일기의 최종 목표{title} 나는 ~를 원하기 때문에 ~라는 감정이 들었구나를 이해하고, 그것을 통해 나를 더 이해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꼭 행동계획을 세우지 않아도 되겠다. 내가 어떤 감정을 어떤 상황에서 느끼고, 그 이면에 숨겨진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게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다.

[!question]- 나만의 감사일기란?{title}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고, 긍정적인 마음을 가져 타인을 사랑하고, 자존감 향상을 위한 일기입니다. 일상의 사소한 것, 당연한 것들을 감사하는데 의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