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2025-06-06

2025-06-06

Pasted image 20250606232041.png 오늘의 Todo List

Pasted image 20250606232054.png 오늘의 공부 list


오늘의 감정일기

오늘의 부정 감정 : 불안감, 초조함 (7/10)

당신은 그런 감정을 느끼고 있군요. 괜찮아요. 굳이 그 감정을 피하거나 숨기거나, 다른 감정으로 바꾸려하지 마세요. 일단 인정해보세요. 이것도 당신의 모습이고, 잘못된게 아닙니다. 준비가 됐다면 아래 질문에 답변해주세요.

  1. 나는 주로 언제 이러한 감정을 느끼나요? 내가 해야하는 일을 정해진 기간 내에 수행할 수 없을 것 같을 때 느껴요.

  2. 나는 오늘 이 감정을 언제, 어떤 상황에서 느꼈나요? 공부를 해야겠다고 마음먹을 때 느껴요.

  3. 나는 이 감정을 느낄 때 주로 어떻게 반응하나요? 보통 현실적으로 가능할 만큼, 그러나 최대한 노력해야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터무니 없는 계획을 다시 세워요.

  4. 오늘 혹은 과거에 이 감정을 느꼈을 때 진심으로 하고 싶은 말과 행동은 무엇인가요? 다 내려놓고 아무것도 하고싶지 않아요. 그냥 편안해질때까지 쉬고 싶어요.

  5. 만약 진심으로 하고 싶은 말과 행동을 하지 못했다면 이유는 무엇인가요? 시험을 망쳐서 또다시 성적을 잘못 받으면 미래의 내가 불이익을 받을까봐. 또는 그냥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었어요. 공부를 열심히 해서 성적을 잘 받아야 성공한다. 꼭 성적을 잘 받아야 할까? 사실 예전에는 다전공, 전과라는 목표가 있었기 때문에 공부를 열심히해야할 동기가 있었어요. 해야할 수 밖에 없었죠. 그리고 재밌었어요. 물론 지금도 막상 집중해서 공부하고 나면 뿌듯하고 재미를 느낍니다. 그러나 왜 시작하기가 어려울까요? 집중해서 공부하는게 현재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감당할 수 있는 양이 너무 많아서 그런걸까요? 그렇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가 감당 가능한 양을 늘릴 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냥 적당한 양만을 처리해가며 살아가는게 맞을까요? 일론머스크는 하루중 18시간을 당연하게 일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다른 자수성가한 재벌은 하루에 딱 4시간만 집중하고 나머지는 자유로운 시간을 즐긴다고 합니다. 뭐가 맞는걸까요?

물론 그 시간은 사람마다 다를 것입니다. 왜 사람마다 다를까요?

‘공부를 열심히 해서 성적을 잘 받아야 성공한다’ 사실 이것은 내가 가진 생각이 아닙니다. 사회가 주입한 통념에 불과해요. 진짜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내가 원하는 가치, 욕구는 무엇일까요?

  1. 이 감정 속에 숨어있는 나의 욕구(가치)는 무엇인가요? 시작이 두려운 이유를 찾은 것 같습니다. 저는 일을 완벽하게 처리하고 싶은 욕구가 있었어요. 내가 일을 완벽하게 처리하지 못할 것 같다는 두려움에, 스트레스를 받고 시작하기가 두려워집니다. 그래서 스트레스를 받고, 또 스트레스를 받으니 시작하기가 망설여지고, 이것이 계속 악순환되고 있어요. 완벽하게 일처리를 하고 나면 굉장한 뿌듯함과 유능감을 얻고 자존감이 올라갑니다. 그러나 완벽한 일처리가 실패하면, 내가 유능하지 못한가? 하는 의구심과 좌절감이 생겨요. 어째서일까요? 완벽하다는 것은 무엇이고, 정말 완벽해야만 할까요? 좀 덜 완벽하면 안될까요?

완벽하고자 하는 욕구 내면에 숨어있는 진짜 욕구가 존재할까요? 그것은 사회적으로, 남에게 인정받고 싶은 인정 욕구. 나는 항상 유능한 사람이고 싶어하는 욕구. 이것이 숨어있었어요.

  1. 이 감정을 느낄 때 하고싶은 말과 행동, 그것을 하기 위한 행동계획을 작성하세요. 남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 유능한 사람이고 싶어하는 욕구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러나 그것을 위해 나를 너무 가혹하게 채찍질하고 있지는 않나요? 남에게 인정받기 전에, 나 자신을 먼저 인정해보세요. 너는 뭐든 잘하는 놈이야, 너는 지금도 훌륭해.

그리고 결과에 집착하지 마세요. 물론 결과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시험표에 찍히는 숫자 따위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내가 최선을 다해서 얻은 지식,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서 얻은 교훈입니다. 실패는 없습니다. 결과론적으로 보면, 실패라고 부를 수 있는 것들이 있죠. 그러나 최선을 다해도, 최선을 다하지 않았더라도 그 과정에서 얻는 것들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한 얻은 것이 있다면, 모든 일은 작은 성공입니다. 작은 성공과, 큰 성공이 있을 뿐이에요.

완벽하다는 것에 대한 기준을 바꿔보세요. 100%, 120%를 수행하는게 아니라 목표 기준 이상으로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상태라고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과정 자체를 즐길 수만 있다면 이러한 걱정은 딱히 안들었던 것 같아요.

만약 정 안된다면, 일을 최대한 잘게 쪼개보세요. 그리고 그 작은 일들을 처리해가면서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껴보세요. 그 작은 성공이 반복되면, 내 능력에 대한 확신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생각해보니, 이는 중학교때 자연스럽게 했던 것이네요. 큰 일이 있다면, 그것을 아주 잘게 쪼개서 하기 쉬운 것부터 하나씩 처리해갔던 것 같아요. 그 작은 일들을 처리해가다 보면, 어느새 거대한 프로젝트 하나를 끝낼 수 있었죠. 이건 굳이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적용할 수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내 감정을 인정하고, 그 감정의 원인이 되는 욕구를 분석하고, 그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플랜을 세우니 불안감도 사라지고,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습니다.

오늘의 긍정 감정 : 뿌듯함, 즐거움, 기쁨 (9/10)

지금 느낀 감정이 어떤 욕구의 충족에서 비롯된 것인지 함께 생각해볼까요?

  1. 나는 주로 언제 이러한 감정을 느끼나요? 계획한 일을 잘 수행했을 때, 집중력을 유지해서 무언가를 완수했을 때 느껴요.

  2. 나는 오늘 이 감정을 언제, 어떤 상황에서 느꼈나요? 불안한 감정에서 벗어나고, 카페에서 4시간동안 계속 집중한 후 집으로 걸어오는 길에 느껴졌어요.

  3. 이 감정이 느껴질 때 말, 행동, 생각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지인에게 먼저 연락을 하거나, 타인에게 먼저 말을 걸었어요. 그리고 무엇이든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외모에 대한 자존감도 오르고, 나를 안좋게 바라보는 사람들도 포용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4. 어떤 욕구(가치)를 해소해서 이 감정이 들었다고 생각하나요?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인정욕구를 친구와 연락하며 충족했어요. 연락하며 자연스럽게 사람과 소통하고 싶은 욕구도 해소했다고 생각해요. 또한 공부에 몰입하며 얻는 즐거움도 있는 것 같아요. 공부에 몰입한 뒤의 나 자신에 대한 뿌듯함? 무언가 해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 해냈다는 것은, 어떤 욕구를 해결한 것일까요? 어려운 과제를 차근차근 해가며 반드시 해결할 수 있겠다는 자기 확신이 생겼어요.

  5. 오늘 긍정 감정을 느낀 나 자신에게 해주고 싶은 칭찬이나 격려는? 힘들었던 상황 속에서도 돌파구를 찾은 점이 대단하고 칭찬하고 싶어요.

  6. 앞으로 이 감정을 계속 느끼기 위해 유지할 말, 행동계획을 작성하세요. 막연했던 목표를 오늘과 같이 세세한 세부 목표로 쪼개고, 이를 하나씩 해결하면서 뿌듯함을 느낀다.


오늘의 감사일기

  • 오늘도 맛있는 밥을 먹은 것에 대해 감사하다
  • 내가 편안히 숨쉴 수 있는 것에 감사하다
  • 많은 깨달음과 진전을 안겨준 오늘 하루에게 감사하다
  • 편안히 잘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에 감사하다
  • 이렇게 나를 성장시켜준 나의 환경, 가정에 대해 감사하다

[!note] 감정 일기의 최종 목표{title} 나는 ~를 원하기 때문에 ~라는 감정이 들었구나를 이해하고, 그것을 통해 나를 더 이해하는 과정이다. 내 본심을 부끄럽다는 감정이 들어도, 숨김없이 드러내야 한다.

[!question] 나만의 감사일기란?{title}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고, 긍정적인 마음을 가져 타인을 사랑하고, 자존감 향상을 위한 일기입니다. 일상의 사소한 것, 당연한 것들을 감사하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tip]- 인간의 7가지 감정{title}

  1. 희(喜) : 기쁨 - 감격스러운, 감동적인, 감사한, 고마운, 고무적인, 기쁜, 낙천적인, 날아갈 듯한, 놀라운, 눈물겨운, 든든한, 만족스러운, 뭉클한, 반가운, 벅찬, 뿌듯한, 살맛 나는, 시원한, 싱그러운, 좋은 짜릿한, 쾌적한, 통쾌한, 포근한, 푸근한, 행복한, 환상적인, 후련한, 흐뭇한, 흔쾌한, 흥분된
  2. 노(怒) : 화가 남 - 가혹한, 고통스러운, 골치 아픈, 괘씸한, 괴로운, 구역질 나는, 기분 상하는, 꼴사나운, 끓어오르는, 나쁜, 노한, 떫은, 모욕적, 무서운, 배반감, 복수심, 북받친, 분개한, 분노, 불만스러운, 불쾌한, 섬뜩한, 소름 끼치는, 속상한, 숨 막히는, 실망한, 쓰라린, 씁쓸한, 약 오르는
  3. 애(哀) : 슬픔 - 가슴 아픈, 걱정되는, 고단한, 고독한, 고민스러운, 공포에 질린, 공허한, 괴로운, 구슬픈, 권태로운, 근심되는, 기분 나쁜, 낙담한, 두려운, 마음이 무거운, 멍한, 뭉클한, 미어지는, 부끄러운, 불쌍한, 불안한, 불편한, 불행한, 비참한, 비탄하는, 서글픈, 서러운, 섭섭한, 소외감, 속 썩는, 슬픈, 실망한, 싫어하는, 쓰라린, 쓸쓸한, 아린, 아쉬운, 안타까운, 암담한, 앞이 깜깜한, 애석한, 애처로운, 애태우는, 애통한, 언짢은, 염려하는, 외로운, 우울한, 울적한, 음울한, 음침한, 의기소침한, 절망적인, 좌절하는, 증오하는, 지루한, 착잡한, 참담한, 창피한, 처량한, 처량한, 처참한, 측은한, 침울한, 침통한, 패배스러운, 한스러운, 허전한, 허탈한, 허한, 황량한
  4. 락(樂) : 즐거움 - 가벼운, 가뿐한, 경쾌한, 고요한, 기분 좋은, 담담한, 명랑한, 밝은, 산뜻한, 상쾌한, 상큼한, 숨 가쁜, 신나는, 유쾌한, 당당한, 즐거운, 쾌활한, 편안한, 홀가분한, 확신 있는, 활기 있는, 활발한, 흐뭇한, 흥분된, 희망찬
  5. 애(愛) : 사랑 - 감미로운, 감사하는, 그리운, 다정한, 따사로운, 묘한, 뿌듯한, 사랑스러운, 상냥한, 순수한, 애틋한, 열렬한, 열망하는, 친숙한, 포근한, 호감이 가는, 화끈거리는, 흡족한
  6. 오(惡) : 미움 - 고통스러운, 괴로운, 구역질 나는, 귀찮은, 근심스러운, 끔찍한, 몸서리치는, 무정한, 미운, 부담스러운, 서운한, 싫은, 싫증 나는, 쌀쌀한, 야속한, 얄미운, 억울한, 원망스러운, 죄스러운, 죄책감, 증오스러운, 지겨운, 짜증스러운, 차가운, 황량한
  7. 욕(慾) : 바라다 - 간절한, 갈망하는, 기대하는, 바라는, 소망하는, 애끓는, 절박한, 찝찝한, 초라한, 초조한, 호기심, 후회스러운, 희망하는
  8. 기타 - 겸연쩍은, 고뇌스러운, 고립된, 고생스러운, 고통스러운, 과민한, 기가 죽은, 긴장한, 다행스러운, 당황스러운, 넌더리 나는, 따분한, 매스꺼운, 멋쩍은, 모호한, 무기력한, 무력한, 무서운, 무심한, 미심쩍은, 미안한, 미적지근한, 민망한, 버거운, 부끄러운, 불안한, 불쾌한, 비참한, 비탄스러운, 상한, 생생한, 수줍은, 실감 나는, 실망한, 싫증 나는, 쑤시는, 쑥스러운, 쓰린, 아린, 애매한, 애처로운, 어색한, 어이없는, 억눌린, 언짢은, 엉뚱한, 오싹한, 위태위태한, 유감스러운, 절망적인, 조마조마한, 좌절스러운, 지루한, 짜릿한, 창피한, 태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