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 29 / 10 2025-10-29
- 19 / 09 2025-09-19
- 17 / 09 2025-09-17
- 16 / 09 2025-09-16
- 15 / 09 2025-09-15
- 08 / 09 2025-09-08
- 05 / 09 2025-09-05
- 04 / 09 2025-09-04
- 01 / 09 2025-09-01
- 21 / 08 2025-08-21
- 20 / 08 2025-08-20
- 19 / 08 2025-08-19
- 18 / 08 2025-08-18
- 17 / 08 2025-08-17
- 16 / 08 2025-08-16
- 10 / 08 2025-08-10
- 08 / 08 2025-08-08
- 06 / 08 2025-08-06
- 02 / 08 2025-08-02
- 01 / 08 2025-08-01
- 31 / 07 2025-07-31
- 25 / 07 2025-07-25
- 22 / 07 2025-07-22
- 21 / 07 2025-07-21
- 20 / 07 2025-07-20
- 20 / 07 기초전자기학 29. 맥스웰 방정식의 일반해가 무엇일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28. 금속 관 내에 전자기파를 넣으면 어떻게 될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27. 일반적인 유전체에 전자기파를 입사하면 어떻게 될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26. 위상속도와 군속도가 무엇인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25. 도체 표면에 전자기파가 부딪히면 어떻게 될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24. 도체 속 전자기파는 어떻게 거동할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23. 유전체 속 전자기파는 어떻게 거동할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22. 전자기 파동방정식의 해는 무엇일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21. 빛이 왜 전자기파일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20. 파동방정식을 어떻게 풀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19. 파동이란 무엇인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18. 전자기장이 각운동량도 가지고 있을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17. 전자기학의 운동량 보존 법칙이 무엇인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16. 전자기학의 에너지 보존 법칙이 무엇인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15. 전하보존법칙은 어떻게 유도되는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14. 키르히호프의 법칙이 무엇인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13. 코일에 전류 I를 흘리면 어떤 자기장이 생길까
- 20 / 07 기초전자기학 12. 맥스웰 방정식이 무엇인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11. 인덕턴스가 무엇인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10. 패러데이 법칙이 무엇인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9. 발전기의 원리는 무엇인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8. 옴의 법칙이 무엇인가
- 20 / 07 기초전자기학 7. 기전력이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29. 연산자의 의미가 무엇일까
- 20 / 07 양자역학 28. 에너지-시간 불확정성 원리란
- 20 / 07 양자역학 27. 불확정성 원리를 일반화하는 방법
- 20 / 07 양자역학 26. 양자계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을까
- 20 / 07 양자역학 25. 일반화된 통계적 해석이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24. 고유 함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20 / 07 양자역학 23. 왜 고유값이 측정값인가
- 20 / 07 양자역학 22. 관측 가능양의 고유값들은 어떻게 구할까
- 20 / 07 양자역학 21. 결정된 상태가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20. Observable가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19. Bra-Ket (Dirac) 표현법이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18. 디렉 퍼텐셜 내의 입자는 어떻게 거동할까
- 20 / 07 양자역학 17. 양자계가 퍼텐셜에 구속되는 기준이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16. 푸리에 변환이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15. 퍼텐셜이 0인 곳에서 입자는 어떻게 거동할까
- 20 / 07 양자역학 14. 복소 연산자
- 20 / 07 양자역학 13. 연산자에 Dagger를 적용하는게 무슨 의미인가
- 20 / 07 양자역학 12. 위치와 운동량 연산자의 Commutator
- 20 / 07 양자역학 11. 왜 연산자는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을까
- 20 / 07 양자역학 10. 양자계의 조화 진동자가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9. 무한 퍼텐셜 우물이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8. 슈뢰딩거 방정식을 어떻게 푸는가
- 20 / 07 양자역학 7. 가우시안 분포를 어떻게 적분하는가
- 20 / 07 양자역학 6. 연산자란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5. 물리량의 평균, 분산,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
- 20 / 07 양자역학 4. 왜 확률을 사용하는가
- 20 / 07 양자역학 3. 힐베르트 공간이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2. 파동함수란 무엇인가
- 20 / 07 양자역학 1. 슈뢰딩거 방정식이란
- 20 / 07 양자역학 0. 공리, 부록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23. Phong Light Model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22. Rendering Equation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21. Stencil Buffer가 무엇인가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20. Backface Culling이 무엇인가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19. Viewport Mapping이 무엇인가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18. Clipping이 무엇인가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16. OpenGL의 Primitive Type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15. 컴퓨터에서 색깔을 어떻게 표현할까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14. Rasterization 과정에서 픽셀을 생성하는 방법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13. 왜 NDC 좌표계가 필요할까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12. Primitive를 어떻게 표현할까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11. 최적화 기법이 무엇이 있까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10. Projection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9. View Transform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8. Model Transform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7. Vertex Processing이 무엇인가 - Affine Space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6. 데이터를 받은 GPU는 어떤 작업을 하는가 - Pipeline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5. 그래픽스 API는 어떻게 사용하는가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4. Object를 3D Model로 표현하는 방법이 무엇일까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3. 프레임 버퍼에 들어갈 픽셀 데이터를 어떻게 만들까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2. Image를 보여주는 Display는 어떤게 있을까
- 20 / 07 컴퓨터그래픽스 1. 컴퓨터 그래픽스란 무엇일까
- 19 / 07 2025-07-19
- 19 / 07 운영체제 20. 가상메모리가 무엇인가
- 19 / 07 운영체제 19. 논리 주소와 물리 주소를 어떻게 연결할까
- 19 / 07 운영체제 18. Deadlock을 어떻게 해결할까
- 19 / 07 운영체제 17. 동기화를 어떻게 구현할까 - Mutex, Semaphore
- 19 / 07 운영체제 16. 결정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 19 / 07 운영체제 15. 상호작용하는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문제
- 19 / 07 운영체제 14. 실시간 스케쥴링이 무엇일까
- 19 / 07 운영체제 13. CPU 스케쥴링을 어떻게 구현할까
- 19 / 07 운영체제 12. Call Stack Frame이 무엇인가
- 19 / 07 운영체제 11. Thread
- 19 / 07 운영체제 10. Process, Context, PCB
- 19 / 07 운영체제 9. Bootstrapping이 무엇인가
- 19 / 07 운영체제 8. Cache란 무엇인가
- 19 / 07 운영체제 7. 해킹을 어떻게 예방할까
- 19 / 07 운영체제 6. Read를 호출하면 무슨일이 벌어질까
- 19 / 07 운영체제 5. 입출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어떻게 가져올까
- 19 / 07 운영체제 4. 시스템 콜이 무엇인가
- 19 / 07 운영체제 3. 시분할 시스템을 어떻게 구현할까
- 19 / 07 인공지능 14. Q-Learning이란
- 19 / 07 인공지능 13. 마르코프 성질이 무엇인가
- 19 / 07 인공지능 12. 베이지안 추론이란
- 19 / 07 인공지능 11. 불확실한 정보를 다루는 방법
- 19 / 07 인공지능 10. 주관적인 지식을 다루는 방법
- 19 / 07 인공지능 9. 결정론적 지식을 다루는 방법
- 19 / 07 인공지능 8. 추론을 어떻게 하게 만들까
- 19 / 07 인공지능 7. 유전 알고리즘
- 19 / 07 인공지능 6. Monte Carlo Tree Search
- 19 / 07 인공지능 5. Minimax
- 19 / 07 인공지능 4. 경험적 탐색 알고리즘
- 19 / 07 인공지능 3. 맹목적 탐색 알고리즘
- 19 / 07 인공지능 2. 문제란 무엇인가
- 19 / 07 인공지능 1. 인공지능이 무엇인가
- 18 / 07 운영체제 2. 최고의 운영체제 시스템이 무엇일까
- 18 / 07 운영체제 1. 운영체제란 무엇일까
- 18 / 07 가상현실 12. 실제 가상현실 구현
- 18 / 07 가상현실 11. 어떻게 인지하는가
- 18 / 07 가상현실 10. 중간 정리
- 18 / 07 가상현실 9. 사용자의 Action을 어떻게 입력할까
- 18 / 07 가상현실 8. 후각과 미각
- 18 / 07 가상현실 7. 고유감각이 무엇인가
- 18 / 07 가상현실 6. 촉각으로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일까
- 18 / 07 가상현실 5. 청각으로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일까
- 18 / 07 가상현실 4. 시각으로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일까
- 18 / 07 가상현실 3. 감각을 어떻게 제공해야 하는가
- 18 / 07 가상현실 2. 가상현실을 어떻게 구현하는가
- 18 / 07 가상현실 1. 가상현실이 무엇인가
- 18 / 07 영상처리 11. 활용 사례
- 18 / 07 영상처리 10. Object detection을 어떻게 할까
- 18 / 07 영상처리 9. Image Segmentation을 어떻게 할까
- 18 / 07 영상처리 8. Geometric Processing을 어떻게 할까
- 18 / 07 영상처리 7. 움직임을 어떻게 감지할까
- 18 / 07 영상처리 6. Frame Processing이 무엇인가
- 18 / 07 영상처리 5. Edge detection을 어떻게 할까
- 18 / 07 영상처리 4. Morphological Processing이 무엇인가
- 18 / 07 영상처리 3. Area Processing이 무엇인가
- 18 / 07 영상처리 2. Point Processing이 무엇인가
- 18 / 07 영상처리 1. Image Processing이 무엇인가
- 17 / 07 2025-07-17
- 16 / 07 2025-07-16
- 15 / 07 2025-07-15
- 14 / 07 2025-07-14
- 13 / 07 2025-07-13
- 11 / 07 2025-07-11
- 10 / 07 2025-07-10
- 07 / 07 2025-07-07
- 06 / 07 2025-07-06
- 05 / 07 2025-07-05
- 02 / 07 2025-07-02
- 01 / 07 2025-07-01
- 29 / 06 2025-06-29
- 27 / 06 2025-06-27
- 26 / 06 2025-06-26
- 25 / 06 2025-06-25
- 24 / 06 2025-06-24
- 23 / 06 2025-06-23
- 22 / 06 2025-06-22
- 21 / 06 2025-06-21
- 20 / 06 4. 자기 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
- 20 / 06 2025-06-20
- 19 / 06 2025-06-19
- 18 / 06 2025-06-18
- 17 / 06 2025-06-17
- 16 / 06 2025-06-16
- 15 / 06 2025-06-15
- 14 / 06 2025-06-14
- 13 / 06 2025-06-13
- 12 / 06 2025-06-12
- 11 / 06 2025-06-11
- 10 / 06 2025-06-10
- 09 / 06 2025-06-09
- 08 / 06 2025-06-08
- 07 / 06 2025-06-07
- 06 / 06 3. 감정과 욕구
- 06 / 06 2025-06-06
- 01 / 06 2. 연애를 하면서 느낀 점, 배운 점
- 01 / 06 1. 첫 연애를 마친 뒤, 배운 점
- 13 / 02 Unity - Event System
- 11 / 02 Project OneMinute - 개발 일지 (4)
- 07 / 02 Project OneMinute - 개발 일지 (3)
- 03 / 02 Project OneMinute - 개발 일지 (2)
- 02 / 02 Project OneMinute - 개발 일지 (1)
- 20 / 01 Unity DOTS - Rigidbody의 Freeze Rotation이 작동 안함 해결법
- 16 / 01 Unity DOTS 6. Entity와 Components
- 16 / 01 Unity DOTS 5. DOTS와 Entities Package
- 15 / 01 Google Search Console 자동 색인 등록하기
- 14 / 01 Unity DOTS 4. Mathematics Package
- 14 / 01 Unity DOTS 3. Collections Package
- 14 / 01 Unity DOTS 2. Burst Package
- 12 / 01 Unity DOTS 1. 왜 데이터 지향 프로그래밍(DOP)을 사용하는가
- 11 / 01 Unity DOTS 0. 목표
- 10 / 01 Obsidian과 Git Blog 연동하기
- 09 / 01 기초전자기학 6. 물질 속의 자기장
- 09 / 01 지식 관리 Framework 개선하기 - PARA, 제텔카스텐